인터넷이란?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 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개의 컴퓨팅 장치(호스트 or 종단 시스템)을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 컴퓨팅 장치: 데스크탑, 서버, 워크스테이션, 노트북, 스마트본, 태블릿, TV....
- 종단 시스템은 통신 링크, 패킷 스위치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 한 종단 시스템이 다른 종단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보낼 때, '패킷'이란 형태로 전달한다.
- 네트워킹 인프라 구조
-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 구조로서의 인터넷
- 한 종단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종단 시스템에서 수행되고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게 데이터를 보낼 때, '소켓 인터페이스'라는 규약을 따라야 한다.
패킷?
- Pack + Bucket
- 종단 시스템 간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통신 단위
- 한 종단 시스템이 다른 종단 시스템에 데이터를 보낼 때, 그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나눈다. 그리고 그 세그먼트에 헤더를 붙인 것이 패킷이다.
- 패킷은 목적지에 도착해서 원래 데이터로 재조립된다.
- 데이터를 한번에 보내지 않고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것은, 큰 데이터는 대역폭을 많이 차지하여 패킷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기 때문인다.
- IP 패킷 구조
- 출발지 IP: 패킷을 전송하는 종단 시스템의 IP 주소
- 목적지 IP: 패킷이 도착해야하는 종단 시스템의 IP 주소
- TTL (Time To Live): 패킷이 네트워크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시간
- 프로토콜: 데이터가 전달되는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 종류. TCP 또는 UDP
- 헤더 체크섬 : 패킷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해당 계산 결과는 헤더 체크섬 필드에 저장된다.
- 데이터: 전달하고자 하는 실제적인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