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iOS 앱 개발 올인원 패키지 Online

[iOS]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일차 - 첫앱 만들기(1)

듀IT 2021. 9. 7. 20:10

도대체 앱을 만들려면 무엇부터 시작해야할까?


앱은 작은 것부터 하나하나 구현해 나가면 된다. 작은 기능들을 구체화 해나가면서 전체를 완성시키는 것이다. 

 * swiftUI 는 iOS13부터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 당장 swiftUI를 바로 쓰는 회사는 많이 없을 거라고 한다...(2020년 기준)


ViewController


 

  • 역할: 스크린 하나를 관리한다. 페이지 하나를 관리하는 객체이다. 
  • 구성: 스토리 뷰의 디자인 뷰와, 뷰와 연결된 코드로 두가지로 이루어짐
  • 스토리보드 > 뷰컨트롤러 > 유틸리티 영역 > identity inspector > custom class : viewController랑 연결된 코드
  • 스토리보드에 객체를 추가, 추가된 객체를 ctrl 드래그를 하여 viewController 코드에 연결하면 

Alert


알림창을 띄우는 것을 Alert라고 한다.

  1. UIAlertController 생성
  2. UIAction으로 Action 객체 생성 후 UIAlertController에 Add
  3. Present를 통해 화면에 띄움


XCode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1. 오타가 발생했을 때

   - 빨간 아이콘으로 시스템에서 에러를 알려줌. 자동완성을 많이 활용하자

   - 스위프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므로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2. 메소드가 클래스 바운더리를 벗어나는 경우

   - 다시 클래스 안으로 옮겨놓자

3. IBAction이 처음 정의된 이름, 내용에서 변경된 경우

   - System이 인식하지 못해서 앱이 크래쉬 난다. 

4. warning

   - 빌드는 되지만 잠재적으로 버그를 발생시킬 수 있음

   - 네이버는 warning 잡는 날이 있음


뷰구성하기


UIKit 

UIComponent 구성하기 위한 공구함. 뷰 컴포넌트 구성하기 위해서는 UIKit에서 가져와서 사용하면 된다. 

Object Library에 UIKit 컴포넌트를 모아놓음. 라벨, 버튼, 뷰 등등 다 있음.

사이즈 인스팩터에서 컴포넌트의 위치와 크기를 알 수 있음.

 

뷰의 위치

뷰의 기준은 좌측 상단(0,0)임. 우측으로 갈 수록, 아래 방향으로 갈 수록 x,y 값이 커짐. 

 

앱동작 방식의 이해

앱은 여러개의 오브젝트로 이루어져있음. iOS에서 제공해주는 것도 있지만, 직접 만들어야 하는 것도 있음.

오브젝트 간에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액션이 이루어짐.

이벤트 발생에 따라 앱이 작동됨. 앱은 대부분 이벤트를 목 빠지게 기다리고 있음

 

오늘의 공부 모습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