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iOS 앱 개발 올인원 패키지 Online

[iOS]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4일차 - Class.상속(3)

듀IT 2021. 9. 29. 18:33

상속은 언제 하면 좋을까?

장점: 중복되는 코드를 제거할 수 있다.

단점: 상속의 깊이가 깊어지면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짬에서 나오는 바이브가 필요한 영역인 것 같다.

즉 개발 철학이 필요하다.

 

  1. Single Responsibility(단일 책임)
    1. 클래스는 단 하나의 책임만 지면 된다. 한가지 일에 집중해야한다.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들을 책임지게 되면 정체성도 모호해지고  유지하기도 어려워진다.
  2. Type Safety (타입이 분명해야할 때)
    1. 학생이더라도 이 학생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 타입이 분명해야할 때 사용할 수 있다.
      1. 예를 들어 학생 중에서도 미술을 하는 학생, 운동을 하는 학생 등이 있는데 이들이 무엇을 하는지 그 타입을 알고 싶을 때 상속을 통해 그 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
  3. Shared Base Clases(다자녀가 있다!)
    1. 학생이라는 클래스가 학습한다()라는 행위를 구현하고 있다면, 운동선수, 미술을 하는 학생은 그 각각의 학습에 대한 행위가 다르다. 운동선수는 운동을 학습한다, 미술하는 학생은 미술을 학습한다로 학습의 행위가 각각 다르다.(다형성) 이렇게 내용 자체가 다를 때 상속을 고려해볼 수 있다.
  4. Extensibility (확장성이 필요한 경우)
    1. 캔이라는 클래스를 콜라캔, 사이다캔 등으로 확장이 필요할 때
  5. Identify (정체를 파악하기 위해)
    1. 어떤 객체인가, 클래스인가를 상속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1. 체대생인지, 미대생인지 어떤 학생을 하는지 타입을 통해 정체를 검증할 수 있다.

 

오늘의 공부 모습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